학회정보
KOREAN SOCIETY OF POULTRY SCIENCE
학회장/편집위원장 프로필
민원기 (Wongi Min) |
1987 충남대학교 수의학과 졸업 1989 충남대학교 수의학 석사 1998 서울대학교 수의미생물학 박사 |
민원기 교수는 1987년 충남대학교에서 수의학사를 마쳤고, 1989년 충남대학교에서 수의학 석사를 취득하였다. 박사학위는 1998년 서울대학교에서 취득하였으며, 학위논문의 주제는 “Structure and function of regulatory region of human HOXA7 gene in transgenic mice” 이었다. 이후, 미국 농무성에서 5년간 (1999-2004) 박사후과정을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닭의 콕시듐 질병과 숙주의 면역에 관련된 상관관계 구명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 2005년에는 경상국립대학교 수의학과에 교수로 취임하였고, 2016부터는 2년간 경상국립대학교 수의과대학 학장으로서도 역할을 했다. |
Professor Wongi Min received his Bachelor of Veterinary Medicine from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1987 and his Master of Veterinary Medicine from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1989. He received his Ph.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1998, and his thesis was titled “Structure and function of regulatory region of human HOXA7 gene in transgenic mice.” After that, he worked as a postdoctoral fellow at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e research service for five years (1999-2004). During this period, he conducted research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ccidial diseases and host immunity. In 2005, he was appointed as a professor at the Department of Veterinary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and from 2016, he served as the Dean of the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at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for two years. |
Research interests |
---|
현재 주요 연구 분야는 닭의 기새충성 질병은 콕시듐증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 기초연구 및 장내미생물을 구성 변화 등을 연구하고 있다. 또한 오리의 세균성 질병인 리메렐라 아나티페스티퍼의 질병 발생 기전에 대해서 총유전체 분석, metagenome 분석 등 다양한 연구하고 있다. 민원기 교수는 2025년 한국가금학회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Currently, the main research area is basic research and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intestinal microorganisms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coccidiosis, a parasitic disease in chickens. In addition,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on the disease occurrence mechanism of Riemerella anatifestifer, a bacterial disease in ducks, including whole genome analysis and metagenomic analysis. Professor Wongi Min is serving as the President of the Korean Society of Poultry Science in 2025. |
Selected articles |
1: Nguyen BT, Yim D, Flores RA, Lee SY, Kim WH, Jung SH, Kim S, Min W. Large-
Scale Field Trials of an Eimeria Vaccine Induce Positive Effects on the Production Index of Broilers. Vaccines (Basel). 2024 Jul 19;12(7):800.
2: Cammayo-Fletcher PLT, Flores RA, Nguyen BT, Altanzul B, Fernandez-Colorado CP, Kim WH, Devi RM, Kim S, Min W. Identification of Critical Immune Regulators and Potential Interactions of IL-26 in Riemerella anatipestifer-Infected Ducks by Transcriptome Analysis and Profiling. Microorganisms. 2024 May 12;12(5):973. 3: Cammayo-Fletcher PLT, Flores RA, Nguyen BT, Villavicencio AGM, Lee SY, Kim WH, Min W. Promotion of Th1 and Th2 responses over Th17 in Riemerella anatipestifer stimulation in chicken splenocytes: Correlation of gga-miR-456-3p and gga-miR-16-5p with NOS2 and CCL5 expression. PLoS One. 2023 Nov6;18(11):e0294031. 4: Flores RA, Nguyen BT, Cammayo PLT, Fernandez-Colorado CP, Roy A, Kim S, Kim W, Min W. Comparative analysis of evaluation parameters in E. acervulina, E. maxima and E. tenella-infected broilers. J Vet Sci. 2022 Nov;23(6):e91. 5: Flores RA, Nguyen BT, Cammayo PLT, Võ TC, Naw H, Kim S, Kim WH, Na BK, Min W.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and drug resistance of Eimeria species in Korean chicken farms. BMC Vet Res. 2022 Jul 14;18(1):277. 6: Flores RA, Cammayo PLT, Nguyen BT, Fernandez-Colorado CP, Kim S, Kim WH, Min W. Duck Interleukin-22: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Analysis in Riemerella anatipestifer Infection. J Immunol Res. 2021 Nov 11;2021:3862492. 7: Võ TC, Naw H, Flores RA, Lê HG, Kang JM, Yoo WG, Kim WH, Min W, Na BK. Genetic Diversity of Microneme Protein 2 and Surface Antigen 1 of Eimeria tenella. Genes (Basel). 2021 Sep 15;12(9):1418. 8: Nguyen BT, Flores RA, Cammayo PLT, Kim S, Kim WH, Min W. Anticoccidial Activity of Berberine against Eimeria-Infected Chickens. Korean J Parasitol. 2021 Aug;59(4):403-408. |
허정민 (Heo, Jung Min) |
-2003년2003년 충남대학교 축산학과 졸업 -2005년2005년 충남대학교 농학석사 -2012년2010년 머독대학교 동물영양학 박사 |
허정민 교수는 2003년 충남대학교에서 축산학사를 마쳤고, 2005년 동 대학교에서 농학석사를 취득하였다. 박사학위는 2010년 호주 머독대학교에서 취득하였으며, 학위논문의 주제는 “저수준 단백질을 이용한 이유자돈 설사 예방” 이었다. 이후, 캐나다 마니토바 대학교에서 3년간 (2010-2013) 박사후과정을 수행하였다. 이 과정 중 이유자돈 부터 육성돈 까지 영양과 장내 건강 간의 상관관계 구명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 2013년에는 모교인 충남대학교 동물자원과학부에서 교수로 취임하였고, 2022부터는 충남대학교 교무부처장으로서도 역할을 하고 있다. |
현재 주요 연구분야는 가금의 영양과 소화 생리이며, 이를 기반으로 가금 사료와 사양에서 영양적 요소와 환경적 요소를 조절하여 항생제를 대체하고자 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아울러, 토종닭의 영양과 사양표준 등에 관한 연구도 수행중이다. 허정민 교수는 2023년 한국가금학회 편집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
Dr. Heo obtained a Bachelor of Science (Animal Science) degree in 2003 and a Master’s in 2005, both from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nd a Ph.D. in 2010 from Murdoch University. His Ph.D. project investigated the Reducing the protein content in diets for weaner pigs to control post-weaning diarrhoea: physiological and metabolic responses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Following this, Dr. Heo undertook post-doctoral studies in the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t the University of Manitoba, Winnipeg, Canada (2011-2013) where he worked on nutrition/gut health interactions in weaner to grower pigs. Dr. Heo returned to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 South Korea in 2013, and is currently a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Animal Science and Biotechnology, and Vice-Dean of Academic Affairs. |
Other major research interests presently are the nutrition and digestive physiology of chickens including broilers, laying hens and Korean native chickens. Other research interests encompass alternatives to antimicrobials in poultry diets, role of nutrition and the environment in modifying immune function and the gastrointestinal microbiota, feedstuff evaluation, and controlling enteric diseases in poultry without antimicrobials. Dr. Heo has been acting as the Editor-in-Chief of the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from 2023. |
안녕하십니까?
한국가금학회에서 2025년 춘계 심포지움을 안내드립니다.
1. 일자 : 2025년 5월 9일(금)
2. 주제 : 양계 산업 현안 대응 및 발전방향
3. 장소 : 충남대학교 수의과대학 부속동물병원 (408호, 대강당)
4. 일정 : 게시판 참조 바랍니다.
올해에도 많은 관심과 참석 바랍니다.
감사드립니다.